티스토리 뷰

주식공부하기

앞으로 주식과 관련된 내용을 좀 적어보려고 합니다.

기초적인 차트보는법과 흐름을 이해하는법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캔들차트란? 봉차트란?

상자 수염 그림이라고도 하는 그림을 응용한 것으로 주식의 기술적 분석에서 가장 기본적이며 널리 쓰이는 도구입니다.

캔들 타르가 거의 모든 차트 형식에 방해를 주지 않는데도 당일의 주가 운동을 특징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18세기에 혼마 무네히사라는 사람이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거래 신 혼마'라는 책을 쓴 것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한국에서 번역되어 출간되어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캔들차트를 서양에 처음으로 소개한 스티븐 니슨에 따르면 캔들차트의 개발자로 알려진 혼마 무네히사가 실제 개발자일 가능성은 적고, 혼마 무네히사가 죽고난 다음 19세기 메이지 시대에 들어서야 이루어졌을 것이라고 추측합니다. 혼마 무네히사의 사케다 5 법은 오사카 지역의 쌀 가격의 동향과 패턴을 분석하면서 탄생한 파동 이론의 일종입니다. 이것이 후대에 캔들 차트를 통해서 설명이 되면서 캔들차트의 개발자로 알려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일본의 메이지시대에 들어 일부에 의해 소규모로 쓰이던 캔들차트가 일본 금융업의 발전으로 인해서 일본 전국으로 퍼지게 되었고, 일본이 세계적인 경제대국이 되면서 일본뿐만 아니라 미국과 한국 등 여러 나라의 투자기법의 기초로 자리를 차지하게 됩니다.

 

캔들은 크게 시가, 종가, 고가, 저가로 이루어지며 시가는 당일 주가가 시작된 가격을 나타내고 종가는 그날 마지막으로 거래된 주가를 의미합니다. 고가는 그날 최고가격을 표시하고, 저가는 당일 최저 가격을 표시하게 됩니다.

 

기본적인 해석으로는 위꼬리는 매도세, 아래꼬리는 매수세를 뜻한다고 많이 해석합니다. 반대로 윗몸통은 매수세를 뜻하며, 아랫 몸통은 매도세를 뜻합니다. 캔들차트는 당일의 매수세와 매도세의 경합을 간단하게 알려주기 때문에 매우 편리한 도구이며 기술적 분석의 가장 기본적인 도구이지만 무시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차트 보는 법

양초와 닮았다고 해서 캔들 차트라 고도하며 흔히들 봉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빨간색일 경우 양봉, 파란색, 초록색의 경우 음봉이라고 부릅니다.

색깔은 설정에 따라서 바꿀수있지만 흔히들 빨간색과 파란색이 기본 색상입니다.

 

봉의 위아래 끝부분은 각각 시가와 종가를 나타내고 꼬리로 당일의 고가와 저가를 나타냅니다.

시가와 저가, 종가와 고가가 동일하다면 꼬리 없는 봉형태의 양봉이 나타납니다.

반대로 시가와 고가, 종가와 저가가 동일하다면 꼬리 없는 봉형태의 음봉이 나타납니다.

 

다음 글에서 각 봉의 모양에 따라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글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